안녕하세요.
인라인스케이트 인사이드 에지의 사용은 이야기하지 않아도 일반적인 스케이팅 자세에서 무조건 만들어지는 자세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아무리 발목을 세우려고 해도 발목이 누워 버리는 현상을 가지고 계신 분들도 인식을 하셨겠지만 항상 한쪽 발이 누워 버려 이런저런 고민으로 해결을 시도한 적도 많았을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인라인스케이트 아웃에지 마스터하기! 발목 세우고 안정적인 주행 자세 만들기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발목에 힘이 없는 건 아닌지? 프레임 위치가 잘 못 된 건 아닌지? 하고 지속적인 변화를 통해 발목을 세우려고 합니다.
인라인스케이트 스토리에서도 몇 가지 방법들에 대해서 소개를 해 드렸으니 참고하시고 꼭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시간이 흐르고 흘러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며 스스로의 자세와 지면과의 접촉 감각 등을 몸에서 알아차리게 될 쯤엔 혼자서 충분히 해결을 할 것이지만 그 전에는 남의 손을 빌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면에서 오늘은 한 가지 발목을 세우는 방법 중의 하나로 이용되기도 하고 주행법에 필요하기도 한 아웃 사이드 에지의 사용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하기로 합니다.
인라인스케이트 직선에서의 주행에서 인 사이드 에지의 사용은 푸시하는 동안 사용이 됩니다.
푸시가 끝나고 나면 바로 리커버리 된 상태로 디딤발에 의존하여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데요.
이때 푸시와 디딤발의 주행에서 아웃 사이드 에지만을 사용한다면 어떨까요?
인라인스케이트 아웃 사이드 에지의 사용이 편해질려면 리커버리 해 온 발의 놓는 위치부터가 달라져야 합니다.
몸의 중심에서 살짝 반대편으로 넘어가 바닥면을 치고 그라인딩이 되어야 아웃 사이드 에지의 사용이 자연스럽게 됩니다.
그리고 아웃 사이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푸시를 진행하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물론 그라인딩이 되면 인 사이드로 넘어오겠지만 그 과정 동안 아웃 사이드 에지가 지면에 먹히는 느낌을 충분히 가져가라는 말씀입니다.
인라인스케이트의 주행 시 아웃 사이드 에지로의 리커버리가 잘 되어야 휠이 지면을 치고 나가는, 휠이 지면을 긁고 그라인딩을 하는 마찰과 힘 전달이 증가되어 반작용으로 스케이터에게 파워로 돌려주게 됩니다.
아웃 사이드로 지면에 먼저 닿도록 훈련을 해주어야 바닥면에 휠이 탁탁 떨어지지 않고 굴러가면서 지면에 닿게 됩니다.
천천히 직선 주행을 할 때부터 아웃 사이드 리커버리가 되도록 해 보시길 바랍니다.
꼭 리커버리에서 먼저 닿는 휠은 1번 휠이 되며 휠의 바깥쪽 아웃 사이드가 먼저 지면에 밀착되어 그라이딩이 되도록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면 마치 빙판 위를 달리듯 미끄럽게 달리는 포즈는 조이 멘 시아가 최고인 것 같습니다.
지난번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땄던데 이미지로 가져와 봤습니다.
참고하셔도 되겠네요. ^^*
아웃에지가 몸에 자연스럽게 몸에 베이기 까지는 시간이 걸립니다.
천천히 슬로우하게 연습을 하면서 나의 것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절대 급하게 한다고 해서 나의 것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스케이트와 관련된 이야기는 끝도 없이 많은데 정작 스스로 잘하고 있는 건 뭔지 가끔 돌아보게 됩니다.
이론과 실제는 차이가 있을 테니까 잊힐만 하면 다시 연습하고, 또 잊혀질만 하면 또 연습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오늘도 화창한 날씨를 기다리는 분들 파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
'Inlinesk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라인스케이트 아주느리게 조금느리게 그리고 빠르게 더 빠르게 (0) | 2021.07.01 |
---|---|
(WIC 마라톤) BART SWINGS는 마데이라 FUNCHAL에서 새로운 코스 기록을 세움. 여성 레이스에서는 SANDRINE TAS가 우승 (0) | 2021.06.30 |
인라인스케이트 타는데 자꾸 뒤로 넘어가려고 해요 (0) | 2021.06.30 |
인라인스케이트 중심을 가지고 노는 몇가지 방법 (0) | 2021.06.29 |
인라인스케이트 한발로 오래타는 방법 (0) | 2021.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