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CW-3308의 개발: 선택적이고 경구투여 가능한 BRD9 PROTAC 분해제"는 CW-3308이라는 화합물을 개발하여 BRD9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BRD9이 다양한 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표적화할 수 있는 PROTAC 기술을 활용한 분해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연구 내용을 자세히 정리한 것입니다.
1. 실험 목적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BRD9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여 강력하고 선택적이며 경구 투여가 가능한 PROTAC 분해제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BRD9은 활막육종, 악성라브도이드 종양과 같은 희귀 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억제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화합물은 잠재적으로 효과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습니다. 기존 BRD9 억제제는 BRD9의 활성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해, 완전한 단백질 분해를 유도할 수 있는 PROTAC 기술이 필요합니다.
2. 약물 개발 접근법
- PROTAC 기술: PROTAC (Proteolysis Targeting Chimera) 기술은 목표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분해하기 위해 설계된 합성 화합물을 사용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tricyclic cerebron 리간드인 TX-11-Me와 TX-16-Me를 이용하여 BRD9 분해제를 설계했습니다.
- BRD9 억제제의 선택: BRD9의 브로모도메인을 타겟으로 하는 BI-7273이라는 기존 억제제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분해제를 설계했습니다. BI-7273의 구조를 수정하여 cerebron 리간드와 결합할 수 있는 PROTAC 분해제를 개발했습니다.
- 링커의 최적화: 링커는 PROTAC 분해제에서 목표 단백질과 E3 리가아제 사이의 적절한 결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길이와 구조의 링커를 평가하여 최적의 PROTAC 분해제를 도출했습니다.
3. 실험 결과 해석
- CW-3308의 설계와 개발:
- 초기 설계: BI-7273의 구조를 기반으로 TX-11-Me와 결합시켜 초기 BRD9 분해제를 설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링커 구조를 실험하여 최적의 분해제 효능을 찾았습니다.
- 링커 조정: 첫 번째 시도에서 얻은 화합물(예: CW-3185)은 높은 BRD9 분해 효능을 보였지만 경구 생체이용률이 낮았습니다. 이후 링커 구조와 cerebron 리간드를 조정하여 CW-3308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 활성 평가:
- CW-3308의 분해 능력: CW-3308은 BRD9 단백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했으며, 특히 G401 라브도이드 종양 세포주와 HS-SY-II 활막육종 세포주에서 강력한 효능을 보였습니다. HiBit 분석 결과, 1nM 농도에서 BRD9 단백질 수준을 68%까지 감소시켰으며, 이는 기존 dBRD9 분해제보다 우수한 결과입니다.
- 선택성: CW-3308은 BRD9에 대해 매우 높은 선택성을 보였으며, BRD7 및 BRD4와 같은 관련 단백질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이는 CW-3308이 타겟 단백질에 대해 매우 특이적으로 작용함을 의미합니다.
- 약동학적 특성:
- 경구 생체이용률: 마우스 모델에서 CW-3308은 91%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양호한 약동학적 특성을 보였으며, 체내에서 안정적인 반감기와 적절한 조직 분포를 나타냈습니다.
- 약물 분포 및 지속성: CW-3308은 경구 투여 후 3시간 내에 높은 혈장 및 종양 조직 농도를 달성했으며, 24시간 후에도 종양 내에서 상당한 농도가 유지되었습니다.
- BRD9 단백질 분해 기전:
- CW-3308이 BRD9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BRD9 억제제(BI-7273)와 cerebron 리간드(레날리도마이드)를 사용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CW-3308은 BRD9과 cerebron 에 결합하여 분해를 유도하며, 이는 PROTAC 기술의 원리를 잘 따르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4. 토론 및 결론
연구 결과, CW-3308은 강력한 BRD9 분해 능력과 우수한 경구 생체이용률을 갖춘 유망한 화합물로 평가되었습니다. 특히 BRD9 단백질에 대한 높은 선택성은 CW-3308이 활막육종 및 악성라브도이드 종양과 같은 BRD9 의존성 암 치료에 적합한 후보 물질임을 나타냅니다. 추가적인 연구와 최적화 과정을 통해 CW-3308은 잠재적으로 새로운 암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큽니다.
5. 최종 결과 요약
CW-3308은 현재까지의 연구에서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앞으로도 더욱 폭넓은 연구와 최적화를 통해 암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래는 각각의 그림과 테이블에 대한 세부 내용 정리입니다.
Figure 1은 이전에 보고된 대표적인 BRD9 억제제와 분해제의 화학적 구조를 보여줍니다. 이 그림은 BRD9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시각적으로 요약하며, 약물 개발의 역사적 맥락과 함께 최근 개발된 분해제들의 특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내용:
- BI-7273:
- BRD9의 브로모도메인을 표적으로 하는 강력한 억제제입니다. BI-7273은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가지지만, 단순 억제제로서 BRD9의 전체적인 유전자 전사 활성화를 완전히 억제하지는 못합니다.
- 이 억제제는 구조적으로 단순하지만, BRD7과 BRD4에도 결합하는 등 선택성에서 제한이 있습니다.
- dBRD9:
- BI-7273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PROTAC(프로탁) 분해제로, BRD9을 선택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 화합물은 BI-7273과는 달리 단순 억제가 아닌, CRBN을 통해 BRD9을 분해함으로써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크게 높였습니다.
- VZ185:
- BI-7273의 디메틸아민 부분을 피페라진으로 대체하고, 이를 VHL 리간드에 연결하여 합성된 이중 BRD7/BRD9 분해제입니다.
- 이 화합물은 BRD9뿐만 아니라 BRD7도 표적으로 삼아, 더욱 넓은 범위의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냅니다.
- EA-89와 QA-68:
- EA-89는 새로운 BRD9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이며, QA-68은 EA-89를 기반으로 설계된 CRBN 기반 PROTAC입니다.
- QA-68은 급성 백혈병 및 다발성 골수종 세포주에서 강력한 효능과 선택성을 보였습니다.
- C6:
- 최근에 개발된 경구 투여 가능 BRD9 분해제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 이 화합물은 높은 경구 생체이용률과 강력한 BRD9 분해 능력을 특징으로 합니다.
- CFT8634와 FHD-609:
- CFT8634는 경구 투여 가능하며, FHD-609는 정맥 주사 형태로 개발된 BRD9 분해제입니다. 두 화합물 모두 활막육종 및 SMARCB1 결손 고형 종양 환자 치료를 위해 임상 개발에 들어갔습니다.
- 그러나 FHD-609는 임상 시험 중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임상이 중단되었으며, CFT8634 역시 효과 부족으로 임상 시험이 중단되었습니다 .
이러한 구조적 차이와 개발 역사는 BRD9 타겟 약물의 진화와 각 화합물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입니다. 특히, 초기 억제제에서 PROTAC 분해제로의 전환은 BRD9 관련 질병 치료에 있어 사실상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Figure 2는 논문에서 레날리도마이드와 탈리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두 가지 유형의 세레블론(CRBN) 리간드를 설계한 내용입니다. 이 리간드는 BRD9 단백질을 분해하는 PROTAC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배경 및 목적:
- 연구진은 PROTAC 기술을 활용하여 BRD9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화합물을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cerebron (CRBN)이라는 E3 유비퀴틴 리가아제에 결합할 수 있는 리간드가 필요했습니다. 이 리간드는 목표 단백질인 BRD9을 유비퀴틴화하여 분해를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탈리도마이드와 그 유도체인 레날리도마이드는 잘 알려진 CRBN 리간드로, PROTAC 설계에 자주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이 리간드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TX-11-Me와 TX-16-Me라는 새로운 트리사이클릭 CRBN 리간드를 설계했습니다.
- TX-11-Me와 TX-16-Me의 설계:
- TX-11-Me와 TX-16-Me는 탈리도마이드와 레날리도마이드의 구조를 수정하여 설계된 화합물입니다. 이 구조 수정은 약물의 결합 친화성, 세포 투과성, 대사 안정성, 경구 생체이용률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 결합 친화성: 새로 설계된 리간드인 TX-11-Me와 TX-16-Me는 탈리도마이드와 레날리도마이드와 비슷한 수준의 세레블론에 대한 결합 친화성을 보여, 구조 수정이 CRBN과의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 세포 투과성: 이 새로운 리간드들은 세포막을 통한 중등도에서 좋은 수준의 투과성을 보여, 약물이 세포 내 목표 지점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EFFUX 비율: TX-11-Me는 중간 정도의 배출 비율을 나타내어 일부 화합물이 세포 밖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지만, TX-16-Me는 거의 배출되지 않아 세포 내에 더 오래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효과적인 약물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 대사 안정성: 두 리간드 모두 여러 종(마우스, 쥐, 개, 원숭이, 인간)의 간 미세소체에서 뛰어난 안정성을 보여, 체내에서 빠르게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결론:
- 연구 결과, TX-11-Me와 TX-16-Me는 BRD9 분해제를 설계하기에 적합한 리간드임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리간드들은 결합 친화성, 세포 투과성, 대사 안정성 등의 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이후 CW-3308과 같은 BRD9 분해제를 합성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 그림은 PROTAC 분자를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리간드의 효능, 안정성, 생체이용률 등을 고려한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Table 1은 두 가지 세레블론(CRBN) 리간드인 TX-11-Me와 TX-16-Me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이 표는 레날리도마이드와 탈리도마이드를 비교 기준으로 하여, 새로운 리간드들이 세레블론에 대한 결합 친화성, 세포 투과성, 대사 안정성, 그리고 약동학적 프로필에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를 설명합니다.
주요 항목 요약:
- 세레블론 결합 친화성 (CRBN Binding Affinity):
- TX-11-Me의 결합 친화성 Ki 값은 2.7 μM로, 기존 탈리도마이드와 유사합니다.
- TX-16-Me의 결합 친화성은 1.4 μM로, 레날리도마이드와 유사하며 더 나은 결합력을 보여줍니다.
- 결론적으로, 두 새로운 리간드는 탈리도마이드와 레날리도마이드에 비해 충분히 높은 결합 친화성을 유지합니다.
- 세포 투과성 (Caco-2 Permeability):
- TX-11-Me는 Papp (10^-6 cm/s) 값이 2.55로 중등도의 세포 투과성을 보이며, efflux ratio는 2.67로 P-gp 기질로 작용하여 세포 밖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TX-16-Me는 Papp 값이 7.44로, 훨씬 더 높은 세포 투과성을 나타내며, efflux ratio는 1.07로 거의 배출되지 않아 세포 내에 더 오래 유지될 가능성이 큽니다.
- 간 미세소체 대사 안정성 (Liver Microsomal Stability):
- 두 리간드 모두 >60분의 반감기를 기록하며, 마우스, 쥐, 개, 원숭이,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종에서 높은 대사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특히 TX-16-Me는 원숭이에서 54분의 반감기를 보입니다.
- 쥐에서의 약동학적 프로필 (Pharmacokinetic Profile in Rats):
- TX-11-Me는 경구 투여 시 60%의 생체이용률을 보였고, TX-16-Me는 70%의 더 높은 생체이용률을 나타냈습니다.
- 두 리간드 모두 경구 투여 시 좋은 약동학적 프로필을 보여주며, 경구 투여 가능한 BRD9 분해제를 설계하기에 적합합니다.
이 표의 결과는 TX-11-Me와 TX-16-Me가 강력하고 경구 투여 가능한 BRD9 분해제를 개발하는 데 적합한 리간드임을 나타냅니다. TX-16-Me는 특히 높은 세포 투과성과 적은 배출로 인해 더 유망한 후보로 평가됩니다.
Figure 3는 BRD9 PROTAC 분해제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구조적 정보를 제공하는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 BRD9와 BI-7273 억제제의 공동결정 구조 (PDB 5EU1):
- BRD9 억제제 결합: 이 구조는 BRD9 단백질이 선택적인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인 BI-7273과 어떻게 결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BI-7273은 BRD9을 표적으로 하는 PROTAC 분해제를 설계하기 위한 기반으로 사용됩니다.
- 주요 상호작용: 이 구조에서는 BI-7273의 디메틸아민 그룹이 용매에 노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그룹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위치에 세레블론 리간드를 연결하여 PROTAC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BI-7273의 이 부분은 설계된 PROTAC 분해제가 BRD9에 효과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중요한 연결 지점입니다.
- 결합 메커니즘: BI-7273의 다른 중요한 부분은 N-메틸 그룹이 BRD9의 친수성 포켓 깊숙이 결합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나프티리딘-1(2H)-온 구조는 BRD9의 타이로신 106번 (TYR106)과 pi-pi 상호작용을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합니다.
(B) PROTAC 분해제 설계를 위한 Exit Vector 제안:
- Exit Vector: "Exit vector"는 PROTAC 분해제를 설계할 때, 리간드와 목표 단백질이 결합한 후, 리간드의 나머지 부분을 어디에 위치시킬지 결정하는 방향성을 의미합니다. BI-7273의 구조에서 디메틸아민 그룹이 노출된 위치는 PROTAC 설계에서 세레블론 리간드를 연결할 이상적인 위치로 제안됩니다.
- PROTAC 설계: 이 위치를 활용하여, 연구진은 BRD9 단백질에 결합한 후, cerebron 리간드를 통해 E3 유비퀴틴 리가아제를 결합시키고, 이로 인해 BRD9이 분해되도록 설계된 PROTAC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링커 길이와 조성은 분해 효율성, 선택성, 그리고 약물동태학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적 정보는 새로운 PROTAC 분해제를 설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어떤 부분에 세레블론 리간드를 연결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연결이 BRD9과의 결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Table 2에서는 TX-11-Me (12)와 BI-7273 (3)를 기반으로 한 BRD9 PROTAC 분해제의 설계와 그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 테이블은 다양한 링커를 사용하여 합성된 화합물들의 BRD9 분해 효능을 평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및 구조-활성 관계 (SAR) 분석:
- 기본 설계:
- TX-11-Me는 세레블론(CRBN) 리간드로 사용되었고, BI-7273는 BRD9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억제제로 사용되었습니다.
- 이 두 분자를 직접 연결하거나, 다양한 길이와 구조의 링커를 사용하여 연결하여 PROTAC 분해제를 설계했습니다.
- 화합물 15:
- 링커 없이 TX-11-Me와 BI-7273을 직접 연결하여 합성된 화합물. - 직접 연결 구조 이용 가능성 확인
- DC50: 37 nM, Dmax: 90%로, BRD9을 상당히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었으나, 최고 효능은 기존의 dBRD9보다 낮았습니다.
- 화합물 16-18:
- 이들 화합물은 구조적 제한이 있는 링커(azetidine, piperidine, spiro)를 사용하여 합성되었습니다.
- 화합물 18 (spiro 링커 사용)은 가장 높은 효능을 보였으며, DC50: 12.9 nM, Dmax: 99%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기존의 dBRD9보다 3배 더 높은 활성을 가집니다.
- 이러한 결과는 링커의 구조와 제약이 PROTAC 분해제의 효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구조-활성 관계 (SAR) 분석: 이 부분이 정말 중요한 부분으로 경구화 가능한 구조를 만들 수 있느냐 없느냐의 갈림길입니다. 개인적으로 분자량과 PSA의 값을 최적화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자량은 800을 넘으면 안됩니다.
- 링커 구조: 링커의 유연성 또는 강성이 BRD9의 분해 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강성이 높은 spiro 구조는 BRD9 단백질과의 적절한 결합을 유도하여 더 높은 효능을 나타냈습니다.
- 분자 크기 및 극성: 화합물 18은 분자량 716, polar surface area (tPSA) 124 Ų, logP 값 2.3으로, 이는 적절한 경구 생체이용률을 가질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링커의 최적화는 PROTAC의 효능, 선택성, 약동학적 특성에 중요하며, 구조의 세밀한 조정이 필요합니다.
이 테이블의 결과는 PROTAC 설계 시 링커의 길이와 구조가 BRD9 분해 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며, 향후 최적화 작업에 중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
Table 3는 대표적인 BRD9 분해제들의 경구 노출 및 대사 안정성 데이터를 요약한 표입니다. 이 표는 개발된 화합물들의 경구 투여 후 혈장 내 농도와 각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여기에서 설명된 화합물들은 CW-3185, CW-3235, CW-3231, CW-3233, CW-3232로, 이들은 각각 다른 링커 구조를 가진 BRD9 PROTAC 분해제들입니다.
주요 내용:
- 혈장 농도:
- 각 화합물은 1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되었으며, 투여 후 1시간, 3시간, 6시간 후의 혈장 농도가 측정되었습니다.
- CW-3232 (화합물 26)은 1시간 및 3시간 후 각각 193 ng/mL 및 204 ng/mL의 높은 혈장 농도를 보여, 다른 화합물들보다 훨씬 높은 경구 생체이용률을 나타냈습니다. 6시간 후에도 32 ng/mL로 비교적 높은 농도를 유지했습니다.
- 다른 화합물들(예: CW-3185, CW-3231)은 혈장 농도가 <5 ng/mL로 매우 낮아, 경구 투여 후 체내에서 잘 흡수되지 않거나 대사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대사 안정성:
- 각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은 마우스, 쥐, 인간의 간 미세소체에서 측정되었습니다.
- CW-3231 (화합물 23)은 60분 이상의 반감기를 보여 매우 안정적인 대사 프로필을 나타냈습니다.
- 반면, CW-3235 (화합물 20)은 마우스, 쥐, 인간 간 미세소체 모두에서 10분 미만의 매우 짧은 반감기를 나타내어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특성을 보였습니다.
- CW-3232는 마우스에서 44분, 인간에서 59분의 반감기를 보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으나, 다른 화합물에 비해 약간 낮은 안정성을 나타냈습니다.
구조-활성 관계 (SAR) 분석:
- 링커의 길이와 구조가 화합물의 경구 노출과 대사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CW-3232는 [6,6] 스피로 링커(spiro linker)를 포함하고 있어, 가장 높은 혈장 농도를 유지하며 경구 생체이용률이 우수했습니다.
- CW-3231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더 긴 링커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높은 대사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경구 투여 시 낮은 혈장 농도를 나타냈습니다.
- CW-3235의 낮은 안정성은 링커 구조가 너무 유연하거나 적절한 위치에서 분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결과들은 화합물의 링커 설계가 약물의 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ADME)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추가적인 최적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를 조정하여 더 나은 경구 투여 약물 후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Table 4에서는 Compound 18을 기반으로 링커 구조를 고정화(rigidification)하여 BRD9 PROTAC 분해제의 효능과 ADME(흡수, 분포, 대사, 배설) 특성을 개선한 연구 결과입니다. 이 표는 다양한 링커를 사용하여 합성된 화합물들의 BRD9 분해 효능과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한 데이터를 보여줍니다.
주요 내용 및 구조-활성 관계 (SAR) 분석:
- 배경:
- Compound 18은 [6,4] spiro 링커를 포함하며, BRD9 분해제 설계의 초기 단계에서 가장 강력한 효능을 보인 화합물입니다. 그러나, 이 화합물은 체내에서 높은 분포 용적과 높은 클리어런스(제거율)를 보였고, 이로 인해 경구 투여 후 낮은 혈장 농도를 나타냈습니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링커의 구조를 고정화하여 화합물의 효능과 약동학적 특성을 개선하려 했습니다.
- 링커 고정화에 따른 화합물 성능:
- Compound 19: [6,6] spiro 링커와 아미드 결합을 도입한 화합물로, DC50 값이 3 nM으로 매우 높은 BRD9 분해 효능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링커의 고정화가 효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Compound 20: 이 화합물은 DC50 = 4.4 nM의 뛰어난 BRD9 분해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낮고, **polar surface area (PSA)**가 141 Ų로 적절한 경구 생체이용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사 안정성이 낮아 경구 투여 후 낮은 혈장 노출도를 보였습니다.
- Compound 21 및 22: 추가적인 고정화 링커 구조를 도입한 화합물로, 각각 DC50 = 7 nM과 11 nM의 효능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인 효능은 Compound 19와 20에 비해 약간 낮았습니다.
- 구조-활성 관계 (SAR) 분석:
- spiro linker 를 사용한 링커 고정화는 화합물의 BRD9 분해 효능을 크게 향상시키며, 특히 Compound 19에서 높은 효능 개선이 확인되었습니다. 링커가 유연하면 효능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목표 단백질과의 결합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아미드 결합 도입: 아미드 결합의 도입은 효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분자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개선하여 대사 안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분자 크기와 극성: 분자량이 적절하면서도 극성이 높은 화합물들은 더 나은 약물동태학적 특성을 보입니다. Compound 20의 낮은 혈장 노출도는 높은 극성(PSA 141 Ų)과 대사 불안정성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이 결과들은 PROTAC 설계에서 링커의 구조적 고정화가 화합물의 효능과 ADME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추가적인 최적화를 통해 더 나은 약물 후보를 개발할 수 있으며, 특히 경구 생체이용률과 대사 안정성의 균형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able 5에서는 Compound 26의 억제제 부분을 최적화한 내용입니다. 이 표는 BRD9 단백질의 분해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BI-7273의 구조를 어떻게 변경했는지 설명하고, 각 구조 변형이 화합물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줍니다.
주요 내용 및 SAR(구조-활성 관계) 분석:
- N-메틸 그룹 변형:
- Compound 27: Compound 26의 N-메틸 그룹을 N-에틸로 변경하여 합성. 이 화합물은 DC50 = 92 nM 및 **Dmax = 99%**로, Compound 26보다 효능이 약간 떨어졌습니다.
- Compound 28: N-프로필 그룹으로 변경한 화합물로, DC50 = 372 nM으로 효능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 Compound 29: N-부틸 그룹으로 변경하여 합성되었으며, DC50 = 186 nM으로 Compound 28보다 효능이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Compound 26보다는 낮은 효능을 보였습니다.
- 피리딘 링의 변형:
- Compound 32: Compound 26의 피리딘 링에 6-메틸을 추가한 화합물로, DC50 = 84 nM 및 Dmax = 98% 로, 효능이 약간 감소했습니다.
- Compound 34-36: 6-메틸 그룹을 에틸, 이소프로필, 시클로프로필로 변경한 화합물들은 모두 효능이 더 낮았습니다.
- 피리딘 링의 전자적 특성 변경:
- Compound 37: 6-메틸을 아제티딘으로 대체하여 합성. DC50 = 70 nM 및 Dmax = 99%로 높은 효능을 유지했습니다.
구조-활성 관계 (SAR) 분석:
- N-알킬 그룹의 변화는 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N-메틸을 유지한 경우(Compound 26)가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냈으며, N-에틸이나 N-프로필로 변경할수록 효능이 감소했습니다.
- 피리딘 링의 변형 또한 효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6-메틸을 추가하거나 다른 그룹으로 대체하는 것은 효능을 약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그러나, 아제티딘 그룹의 도입은 오히려 효능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최적화 전략으로 볼 때, 원래의 N-메틸 그룹과 피리딘 링의 기본 구조를 유지하면서, 링의 전자적 특성을 약간 변경하는 것이 효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표의 결과는 BRD9 억제제 부분의 구조적 수정이 효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며, PROTAC 설계에서 적절한 구조 최적화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Table 6는 세 가지 대표적인 BRD9 분해제의 쥐에서의 경구 노출 데이터입니다. 이 데이터는 각 화합물의 경구 투여 후 혈장 내 약물 농도를 시간에 따라 평가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Compound 27 (CW-3308), Compound 29 (CW-5011), 그리고 Compound 37 (CW-5292)의 농도 프로필이 포함됩니다.
주요 내용 및 SAR(구조-활성 관계) 분석:
- Compound 27 (CW-3308):
- 경구 투여(10 mg/kg) 후 1시간 내에 5,290 ng/mL의 높은 혈장 농도를 달성했습니다.
- 3시간 후 농도는 1,350 ng/mL로 감소했고, 6시간 후에는 48.6 ng/mL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 이 화합물은 높은 초기 농도를 나타내지만 빠르게 소실되며, 이는 매우 효과적인 초기 노출을 시사합니다.
- Compound 29 (CW-5011):
- 5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1시간 후 668 ng/mL, 3시간 후 530 ng/mL, 6시간 후 368 ng/mL의 농도를 기록했습니다.
- 24시간 후에도 17.6 ng/mL의 낮은 농도가 유지되었습니다.
- 이는 비교적 안정적인 노출 프로필을 보여, 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 Compound 37 (CW-5292):
- 이 화합물은 경구 투여 후 1 ng/mL 미만의 혈장 농도만을 기록하여, 거의 경구 생체이용률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 이는 경구 투여에 적합하지 않은 화합물임을 시사하며, 추가적인 구조 수정이 필요합니다.
구조-활성 관계 (SAR) 분석:
- 링커 구조와 약물 농도: CW-3308과 CW-5011은 비슷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CW-3308이 초기 농도가 훨씬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CW-3308의 구조가 경구 흡수율을 크게 향상시킨 결과일 수 있습니다.
- 구조적 불안정성: CW-5292의 매우 낮은 농도는 이 화합물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거나, 경구 투여 시 대사되어 소실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표의 결과는 BRD9 분해제 설계에서 구조적 요소가 경구 생체이용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히 보여줍니다. 특히, CW-3308은 경구 투여 후 높은 초기 농도를 유지하므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더욱 최적화된 경구 약물로 발전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Table 7는 Compound 27 (CW-3308)의 대사 안정성 및 혈장 안정성을 다룹니다. 이 표는 마우스, 쥐, 인간에서의 간 미세소체와 혈장에서 화합물의 반감기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주요 내용:
- 대사 안정성:
- CW-3308은 마우스, 쥐, 인간 모두에서 >60분의 반감기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이 화합물이 간 미세소체에서 매우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되지 않음을 시사합니다.
- 혈장 안정성:
- 마찬가지로, CW-3308은 마우스, 쥐, 인간의 혈장에서 >60분의 반감기를 보였습니다. 이는 CW-3308이 혈장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체내 순환에서 약물이 충분한 시간 동안 활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구조-활성 관계 (SAR) 분석:
- 대사 안정성: CW-3308의 구조적 특성은 간 미세소체에서 높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이 화합물의 구조적 요소들이 대사 효소로부터의 분해를 방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혈장 안정성: CW-3308은 혈장에서도 매우 안정적인데, 이는 경구 투여 후에도 장시간 동안 활성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입니다.
이 표의 데이터는 CW-3308이 다양한 생체 내 환경에서 매우 안정적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경구 투여 가능성을 가진 강력한 BRD9 분해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Table 8는 쥐에서 Compound 27 (CW-3308)의 정맥 주사(IV)와 경구 투여(PO) 후의 약물 동태학적(PK) 매개변수를 나타냅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CW-3308의 체내 분포, 대사, 배설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을 알 수 있습니다.
주요 내용:
- IV(정맥 주사) 경로:
- Cmax (최대 혈장 농도): 991 ng/mL
- AUC (0-24h): 48 h·ng/mL
- t1/2 (반감기): 18.2시간
- CL (청소율): 91 mL/min/kg
- Vss (정상 상태에서의 분포 용적): 18.2 L/kg
- %F (경구 생체이용률): IV 경로에서는 경구 생체이용률이 측정되지 않지만, 정맥 주사를 통해 높은 농도에서 빠르게 혈중에 도달함을 의미합니다.
- PO(경구 투여) 경로:
- Cmax (최대 혈장 농도): 172 ng/mL
- AUC (0-24h): 1499 h·ng/mL
- t1/2 (반감기): 3.7시간
- %F (경구 생체이용률): 91%
- 경구 투여 후에도 CW-3308은 비교적 높은 생체이용률(91%)을 보이며, 이는 약물이 경구 투여 후에도 효과적으로 체내에 흡수되어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SAR(구조-활성 관계) 분석:
- 분포와 청소율: CW-3308의 높은 분포 용적과 청소율은 약물이 체내에서 넓게 분포하며, 상대적으로 빠르게 대사됨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약물의 구조적 특성에서 기인할 수 있으며, 약물이 체내에서 빠르게 작용하지만 빠르게 소실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경구 생체이용률: CW-3308은 경구 투여 후에도 높은 생체이용률을 나타내어, 경구 투여 시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약물의 화학적 안정성과 체내 대사 저항성을 반영합니다.
이 데이터는 CW-3308이 정맥 주사뿐만 아니라 경구 투여에서도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경구 생체이용률이 높다는 점에서 약물 개발에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Figure 4는 Western blotting을 사용하여 BRD9, BRD7, BRD4 단백질의 분해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실험은 G401 세포주에서 진행되었으며, BRD9을 타겟으로 하는 여러 PROTAC 분해제(예: dBRD9, Compound 18, 19, 42, 27)를 3시간 동안 처리한 후, 단백질 수준을 평가했습니다. β-actin은 로딩 컨트롤로 사용되어 각 샘플의 단백질 로딩이 균일한지를 확인합니다.
주요 내용:
- 실험 설정:
- G401 세포주: 이 세포주는 악성 라브도이드 종양의 세포주로, BRD9 단백질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처리된 화합물: dBRD9, Compound 18, 19, 42, 27는 BRD9을 표적으로 설계된 PROTAC 분해제입니다. 이들 화합물의 효능을 비교하여 BRD9 단백질의 분해 정도를 평가합니다.
- Western Blotting 결과:
- BRD9 단백질:
- Compound 19와 27: BRD9 단백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했습니다. 특히, 1 nM 농도에서 BRD9 단백질 수준을 68% 감소시켰습니다.
- dBRD9: 비교적 강력한 분해제를 나타내지만, Compound 19와 27에 비해 효능이 약간 낮았습니다.
- Compound 18: HiBit 분석에서 강력한 효능을 보였으나, Western blotting 분석에서는 Compound 27보다 약간 낮은 효능을 보였습니다.
- Compound 42: 다른 화합물들에 비해 BRD9 분해 효능이 현저히 낮았습니다.
- BRD7 및 BRD4 단백질:
- 모든 화합물은 BRD7 및 BRD4 단백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이는 이들 화합물이 BRD9에 대해 매우 선택적인 분해를 유도함을 의미합니다.
- BRD9 단백질:
- 데이터 해석 및 배경 지식:
- PROTAC 기술: PROTAC(Proteolysis Targeting Chimera) 기술은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합성 분자입니다. 이 기술은 E3 유비퀴틴 리가아제와 목표 단백질을 동시에 결합시켜, 목표 단백질이 유비퀴틴화되고 프로테아좀에 의해 분해되도록 유도합니다.
- Western blotting: 이 기술은 단백질의 존재 여부와 양을 확인하는 실험 방법입니다. 실험에서 검출된 밴드의 강도는 단백질의 양을 나타내며, 특정 단백질의 분해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결론:
- Compound 19와 27은 BRD9 단백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하며, 다른 관련 단백질(BRD7, BRD4)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BRD9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가진 강력한 분해제로 평가됩니다.
- dBRD9도 유의미한 분해 효능을 보였지만, 최신 화합물들에 비해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 Compound 42는 BRD9 분해에 비효과적이므로, 구조적 최적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결과는 BRD9 타겟팅 PROTAC 분해제의 설계 및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Compound 27의 강력한 효능은 추가적인 연구와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Figure 5는 HS-SY-II 세포주에서 다양한 농도의 BRD9 분해제를 처리한 후, BRD9 단백질의 농도 의존적인 분해를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 실험에서는 dBRD9, Compound 18, 19, 27이 사용되었으며, 각 화합물의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여러 농도로 3시간 동안 처리되었습니다. β-actin은 로딩 컨트롤로 사용되어 각 샘플에서의 단백질 로딩이 균일한지 확인합니다.
주요 내용:
- 실험 설정:
- HS-SY-II 세포주: 이 세포주는 활막육종과 관련된 세포주로, BRD9 단백질이 이 암의 생존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처리된 화합물: dBRD9, Compound 18, 19, 27은 모두 BRD9을 표적으로 하는 PROTAC 분해제입니다.
- Western Blotting 결과:
- BRD9 단백질:
- Compound 19와 27: 두 화합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BRD9 단백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했습니다. 특히, 10 nM 농도에서 BRD9 단백질 수준을 70% 이상 감소시켰고, 100 nM에서는 98% 이상 감소시켰습니다.
- dBRD9: BRD9 단백질을 분해하는 데 유효했으나, 같은 농도에서 Compound 19와 27보다 약간 낮은 효능을 보였습니다.
- Compound 18: 이 화합물도 BRD9을 분해했지만, Western blotting 결과에서는 Compound 19와 27보다 약간 낮은 효능을 보였습니다.
- 농도 의존성:
- 모든 화합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BRD9 단백질의 분해 효능이 증가했습니다. 이는 각 화합물이 BRD9에 대해 농도 의존적인 반응을 보이며, 일정 농도 이상에서 최적의 분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 BRD9 단백질:
데이터 해석 및 배경 지식:
- PROTAC 기술:
- PROTAC(Proteolysis Targeting Chimera) 기술은 목표 단백질과 E3 유비퀴틴 리가아제를 동시에 결합시켜 목표 단백질이 유비퀴틴화되고 프로테아좀에 의해 분해되도록 유도하는 합성 분자입니다.
- 이 기술의 강점은 목표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는 점이며, 이는 표적 단백질을 억제하는 기존의 소분자 억제제와 비교해 훨씬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 Western Blotting:
- Western blotting은 특정 단백질의 존재 여부와 양을 확인하는 실험 방법입니다. 밴드의 강도는 단백질의 양을 나타내며, 특정 단백질의 분해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농도 의존적 효과는 화합물이 특정 농도에서 목표 단백질에 얼마나 강하게 결합하여 분해를 유도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결론:
- Compound 19와 27은 BRD9 단백질에 대해 매우 강력한 분해 효능을 나타내며, 특히 높은 농도에서 거의 완전한 단백질 분해를 유도했습니다. 이는 이들 화합물이 매우 효과적인 BRD9 타겟팅 PROTAC 분해제임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 dBRD9도 유의미한 분해 효과를 나타냈지만, 최신 화합물들에 비해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Compound 18은 여전히 강력한 효능을 보였지만, Compound 19와 27에 비해 효능이 다소 낮았습니다.
이 결과는 BRD9 타겟팅 PROTAC 분해제의 효능을 비교하고, 가장 효과적인 후보를 도출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Compound 27은 추가적인 개발과 최적화를 통해 강력한 치료제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Figure 6는 CW-3308이 G401 세포에서 BRD9 단백질을 분해하는 속도와 기전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이 그림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A)에서는 시간에 따른 BRD9 분해 속도를, (B)에서는 CW-3308의 작용 메커니즘을 조사합니다.
(A) BRD9 분해 속도 분석
- 실험 설정:
- G401 세포에 100 nM 농도의 CW-3308을 처리한 후, 다양한 시간대에 BRD9 단백질 수준을 Western blotting으로 측정했습니다.
- 결과 해석:
- 1시간: CW-3308 처리 후 1시간 이내에 BRD9 단백질 수준이 크게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 3시간: 3시간 후에는 BRD9 단백질의 농도가 거의 최대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 6시간: 6시간이 지나면서 BRD9 단백질이 거의 완전히 분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결론: CW-3308은 BRD9 단백질을 매우 빠르게 분해하며, 3시간 이내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시작하여 6시간 내에 거의 모든 BRD9 단백질을 제거합니다.
(B) BRD9 분해 기전 분석
- 실험 설정:
- G401 세포에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화합물을 처리한 후 BRD9 단백질 수준을 Western blotting으로 분석했습니다:
- CW-3308 (100 nM): 단독 처리
- BI-7273 (10 μM): BRD9 억제제 단독 처리
- 레날리도마이드 (10 μM): 세레블론 리간드 단독 처리
- CW-3308 + BI-7273: CW-3308과 BRD9 억제제의 병용 처리
- CW-3308 + 레날리도마이드: CW-3308과 세레블론 리간드의 병용 처리
- G401 세포에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화합물을 처리한 후 BRD9 단백질 수준을 Western blotting으로 분석했습니다:
- 결과 해석:
- CW-3308 단독 처리: BRD9 단백질 수준이 크게 감소하여, CW-3308이 BRD9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BI-7273 단독 처리: BRD9 단백질 수준이 줄어들지 않아, BI-7273이 BRD9을 억제하지만 분해시키지는 못함을 나타냅니다.
- 레날리도마이드 단독 처리: 세레블론 리간드인 레날리도마이드는 BRD9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BRD9 단백질 수준이 유지됩니다.
- CW-3308 + BI-7273: BRD9 단백질 수준이 여전히 크게 감소하므로, BI-7273이 CW-3308의 BRD9 분해 기능을 억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 CW-3308 + 레날리도마이드: BRD9 단백질 수준이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세레블론 리간드인 레날리도마이드가 CW-3308과 경쟁하여 세레블론에 결합하고, CW-3308이 세레블론과 결합하지 못하게 하여 BRD9의 분해가 억제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해석을 위한 배경 지식:
- PROTAC의 기전:
- PROTAC은 목표 단백질(BRD9)과 E3 유비퀴틴 리가아제(CRBN)를 동시에 결합시켜, 목표 단백질을 유비퀴틴화하여 프로테아좀에 의해 분해되도록 유도합니다. 여기서 CW-3308은 BRD9을 표적으로 하여, CRBN을 통해 분해를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 BI-7273은 BRD9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분해시키지는 못합니다. 반면, 레날리도마이드는 CRBN에 결합하는 리간드로, CW-3308과 경쟁하여 BRD9의 분해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 Western blotting:
- 이 기술을 통해 특정 단백질의 농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험에서 나타난 밴드의 강도는 단백질의 양을 나타내며, 밴드가 희미해질수록 단백질이 분해되었음을 의미합니다.
결론:
- CW-3308은 BRD9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분해하며, 3시간 내에 거의 완전한 분해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BI-7273는 CW-3308의 BRD9 분해 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레날리도마이드는 CW-3308과 CRBN 간의 결합을 경쟁적으로 방해하여 BRD9 분해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이 결과는 CW-3308이 BRD9 타겟팅 PROTAC으로서 매우 유망한 후보임을 보여주며, 레날리도마이드와 같은 세레블론 리간드가 존재할 때 그 기전이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Figure 7는 CW-3308의 BRD9 및 BRD4 단백질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평가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 분석에서는 BI-7273과 JQ-1을 참조 화합물로 사용하여 비교했습니다.
(A) BRD9 단백질에 대한 결합 친화도:
- CW-3308의 BRD9에 대한 IC50 값은 5.0 nM으로, 매우 높은 결합 친화도를 나타냅니다.
- BI-7273도 BRD9에 대해 유사한 수준의 결합 친화도(7.2 nM)를 보입니다.
- 이는 CW-3308이 BRD9에 대해 매우 강력한 결합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B) BRD4 단백질에 대한 결합 친화도:
- CW-3308과 BI-7273은 모두 BRD4에 대해 거의 결합하지 않으며, 10 μM 농도에서도 결합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 반면 JQ-1은 BRD4에 대해 129 nM의 IC50 값을 보여 강력한 결합을 나타내지만, BRD9에 대해서는 결합하지 않았습니다.
데이터 해석 및 배경 지식:
- PROTAC 기술에서 목표 단백질에 대한 높은 선택성과 결합 친화도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CW-3308은 BRD9에 강력하게 결합하면서도 BRD4와 같은 관련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BRD9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참조 화합물인 BI-7273과 JQ-1은 각각 BRD9과 BRD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데, CW-3308의 결합 프로필은 이들 두 단백질에 대한 차별적 결합을 확실히 보여줍니다 .
Table 9에서는 CW-3308의 세포 배양 배지에서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 표는 CW-3308이 다양한 시간대에 걸쳐 얼마나 안정적으로 남아 있는지를 분석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0시간: CW-3308의 농도를 100%로 설정하여 시작했습니다.
- 1시간: 1시간 후, CW-3308의 약 35.9%만이 배지에서 안정적으로 남아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 3시간: 3시간 후에는 CW-3308의 15.2%만이 남아 있었으며, 이는 배지에서 상당한 분해가 일어났음을 시사합니다.
- 6시간: 6시간 후에는 CW-3308의 3.1%만이 남아 있어, 거의 대부분이 분해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24시간 및 48시간: CW-3308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성이 더욱 낮아져 24시간 후에는 1.2%, 48시간 후에는 0.6%만이 남아 있었습니다.
데이터 해석 및 배경지식:
- 세포 배양 배지에서의 안정성은 약물이 세포 환경에서 얼마나 오래 유지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CW-3308은 세포 배양 배지에서 상대적으로 불안정하여, 짧은 시간 내에 대부분이 분해된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 그러나, 비록 CW-3308이 배지에서 불안정하더라도, 이 화합물은 여전히 세포 내에서 BRD9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PROTAC 기술이 짧은 시간 동안만 목표 단백질에 결합하더라도, 강력한 분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Figure 8는 CW-3308, BI-7273, 및 레날리도마이드가 G401 및 HS-SY-II 세포주에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 실험에서는 각 화합물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후 4일 동안 세포 생존율을 측정했습니다. CellTiter-Glo 분석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평가했습니다.
(A) G401 세포주에서의 결과:
- CW-3308은 IC50 = 185 nM로, 매우 강력한 세포 생존 억제 효과를 보였습니다. 최대 억제율(Imax)은 90%로, G401 세포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냅니다.
- BI-7273은 IC50 = 4.9 μM로, CW-3308에 비해 약 26배 낮은 활성을 보였습니다. 최대 억제율(Imax)은 67%로, CW-3308보다 현저히 낮았습니다.
- 레날리도마이드는 10 μM에서 최대 억제율 42%로, 상대적으로 미미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B) HS-SY-II 세포주에서의 결과:
- CW-3308은 IC50 = 2.7 μM로, HS-SY-II 세포에서도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최대 억제율(Imax)은 94%였습니다.
- BI-7273 및 레날리도마이드는 10 μM 농도에서도 23% 이하의 낮은 억제율을 보여, 이 세포주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었습니다.
데이터 해석 및 배경 지식:
- CellTiter-Glo 분석은 세포의 생존율을 ATP 수준으로 평가하는 실험 방법으로, 살아있는 세포가 발현하는 ATP의 양을 통해 세포 생존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합니다.
- CW-3308은 BRD9을 표적으로 하는 강력한 PROTAC 분해제로, 두 세포주(G401과 HS-SY-II) 모두에서 BI-7273보다 훨씬 강력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 레날리도마이드는 세레블론 리간드로서의 역할을 하며, 이 실험에서는 비교적 낮은 효과를 보였지만, CW-3308의 효능 평가에서 중요한 참조 화합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결과는 CW-3308이 BRD9 의존적인 종양에서 강력한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기존의 BRD9 억제제보다 훨씬 우수한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Figure 9는 CW-3308의 약력학적(PD) 연구 및 약물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 실험에서는 HS-SY-II 종양을 가진 마우스에게 50 mg/kg의 단일 경구 용량을 투여한 후, 3시간 및 24시간 후에 종양 조직을 수집하여 BRD9 단백질의 수준과 CW-3308의 혈장 및 종양 내 농도를 분석했습니다.
(A) BRD9 단백질 수준 분석 (Western blotting)
- 3시간 후: CW-3308을 경구 투여한 후 3시간째에 종양 조직에서 BRD9 단백질 수준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Western blotting 결과, BRD9 단백질의 밴드가 눈에 띄게 감소하여, CW-3308이 종양 내 BRD9을 효과적으로 분해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4시간 후: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BRD9 단백질 수준이 여전히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CW-3308이 체내에서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장기적인 BRD9 분해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 β-Actin은 로딩 컨트롤로 사용되어, 각 샘플에서의 단백질 로딩이 균일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B) CW-3308의 혈장 및 종양 내 농도
- 혈장 농도:
- 3시간 후: CW-3308의 혈장 농도는 1360 ng/mL로, 약물이 체내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 24시간 후: 혈장 내 농도는 147 ng/mL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검출 가능한 수준입니다.
- 종양 내 농도:
- 3시간 후: CW-3308의 종양 내 농도는 500 ng/mL로, 혈장보다 낮지만 여전히 유의미한 수준입니다.
- 24시간 후: 종양 내 농도는 27 ng/mL로 감소했지만, CW-3308이 종양에 어느 정도 축적되어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데이터 해석 및 배경 지식:
- 약력학(PD) 연구는 약물이 체내에서 목표 단백질(BRD9)에 미치는 생리적 효과를 분석하는 실험입니다. 여기서는 BRD9 단백질의 분해 효과를 Western blotting으로 분석했습니다.
- 혈장 및 종양 농도는 약물이 체내에서 어떻게 분포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냅니다. CW-3308은 경구 투여 후 체내에서 충분한 농도로 유지되며, 종양 조직에서도 유의미한 농도로 존재하여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론:
- CW-3308은 HS-SY-II 종양을 가진 마우스 모델에서 BRD9 단백질을 빠르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분해하는 강력한 PROTAC 분해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3시간과 24시간 후에도 BRD9 단백질 수준이 낮게 유지되는 것은 CW-3308의 긴 작용 시간을 나타내며, 이는 치료적으로 중요한 특성입니다.
- 혈장 및 종양 내 농도 데이터는 CW-3308이 경구 투여 후 체내에서 효과적으로 분포하고, 종양 내에서 지속적으로 농도를 유지하여 장기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데이터는 CW-3308이 BRD9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로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Figure 10는 CW-3308의 항암 효능과 HS-SY-II 이종이식 모델에서의 마우스 체중 변화를 보여줍니다. 이 실험은 CW-3308의 효능을 평가하고,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독성을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A) 항암 효능 분석
- 실험 설정: HS-SY-II 종양을 가진 마우스들에게 종양 크기가 평균 160 mm³에 도달했을 때, 50 mg/kg의 CW-3308을 경구로 투여했습니다. 투여는 5일 동안 매일 1회씩 4주간 이루어졌습니다. 대조군(비히클) 그룹은 6마리의 마우스, CW-3308 처리군은 각각 7마리의 마우스로 구성되었습니다.
- 결과: CW-3308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종양 성장이 현저하게 억제되었습니다. 종양 성장 억제율(TGI)은 25 mg/kg에서 57%, 50 mg/kg에서 60%에 달했습니다. 이는 CW-3308이 HS-SY-II 종양 모델에서 효과적인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B) 마우스 체중 변화
- 실험 설정: 항암 효능을 평가하는 동안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CW-3308이 마우스에게 독성을 유발하는지 확인했습니다.
- 결과: CW-3308을 투여한 그룹과 비히클 그룹 모두에서 체중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이는 CW-3308이 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잘 내약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데이터 해석 및 배경 지식
- 항암제 효능은 종양 크기의 감소 또는 성장이 억제되는 정도로 평가됩니다. 여기서 TGI(종양 성장 억제율)은 치료 전후의 종양 크기 변화를 통해 계산됩니다.
- 독성 평가는 항암 치료 중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면 약물의 독성이 의심될 수 있습니다.
결론:
- CW-3308은 HS-SY-II 종양 모델에서 유의미한 항암 효과를 나타냈으며, 마우스의 체중 변화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독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
Figure 11은 CW-3308이 BRD9과 **세레블론(CRBN)**과 함께 형성하는 삼중 복합체(ternary complex)에 대한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 그림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삼중 복합체의 개요, 상세한 결합 모델, 그리고 수소 결합 거리의 변화를 다룹니다.
(A) 삼중 복합체의 개요
- 구성 요소: 삼중 복합체는 BRD9(회색), CRBN(베이지색), CW-3308(녹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는 200 ns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되었습니다.
- 기본 구조: CW-3308은 BRD9과 CRBN 사이에 위치하여 두 단백질을 연결합니다. CW-3308의 설계는 PROTAC 기술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 기술은 목표 단백질(BRD9)을 E3 유비퀴틴 리가아제(CRBN)와 연결하여 단백질을 분해하는 기능을 합니다.
(B) 삼중 복합체의 상세한 결합 모델
- 주요 결합 상호작용:
- TYR357 (CRBN)의 하이드록실 그룹과 ILE53 (BRD9)의 백본 카보닐 사이에 형성된 수소 결합이 주목됩니다. 이 수소 결합은 삼중 복합체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CW-3308은 BRD9의 활성 부위와 CRBN의 결합 부위에 동시에 결합하여 두 단백질이 가까이 위치하게 하고, 이로 인해 BRD9이 유비퀴틴화되어 분해될 수 있도록 합니다.
- BRD9의 ZA 루프(ILE53 근처)가 CRBN의 TYR357과 상호작용하여 강력한 결합을 형성합니다. 이 상호작용은 CW-3308이 BRD9과 CRBN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C) 수소 결합 거리의 변화
- 거리 변화 분석:
- 수소와 산소 원자 간의 거리: CRBN의 TYR357과 BRD9의 ILE53 사이의 수소 결합 거리가 마지막 65 ns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줍니다.
- 평균 거리: 시뮬레이션에서 계산된 평균 거리는 2.8 Å로, 이는 매우 안정적인 수소 결합임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거리는 결합이 강력하고, 복합체가 물리적으로 안정함을 나타냅니다.
- 거리의 변동성: 수소 결합 거리가 65 ns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며 큰 변동이 없다는 것은 삼중 복합체가 시뮬레이션 기간 동안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었음을 의미합니다.
결론:
- CW-3308은 BRD9과 CRBN 사이의 강력한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삼중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 과정에서 중요한 수소 결합이 형성되어 복합체의 안정성을 증가시킵니다.
-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은 CW-3308이 BRD9과 CRBN을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목표 단백질의 유비퀴틴화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잘 설명해줍니다.
- 이러한 결합 모델과 결합 상호작용은 CW-3308이 BRD9을 분해하는 데 있어 매우 효과적인 PROTAC 분해제임을 강력히 뒷받침합니다.
'Compa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play of PROTAC Complex Dynamics for Undruggable Targets: Insights into Ternary Complex Behavior and Linker Design (0) | 2024.08.27 |
---|---|
🔍 다중 회귀 분석으로 용해도 예측하기: 신약 개발에서의 효율적인 합성 우선순위 결정법 💊 (0) | 2024.08.14 |
소노가시라 반응(Sonogashira cross coupling) 메카니즘 (0) | 2022.11.24 |
핵 리액션 (Heck reaction) 메카니즘 (0) | 2022.11.24 |
스즈키 크로스 커플링 반응 (Suzuki reaction) 메카니즘 (0) | 2022.11.16 |